반응형

OSI 7 Layer란,

먼저 OSI 참조 모델이란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Protocol)이다.

 

즉,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데이터 통신 이

필요한 장비 및 처리 방법 등을 7단계로 표준화하여 규정한 것을 말한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 물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 응용 계층 )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기계적 , 전기적 , 기능적 ,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다.

 

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흐름 제어 기능"을 한다.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기능과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 기능을 한다.

 

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논리적 안정과 균일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단 시스템(End-to-End) 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송수신 측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한다.

 

6.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세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응용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코드 변환 , 데이터 암호화 등의 기능을 한다.

 

7.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