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리뷰
고대 노예제사회, 그리고 종교의 등장 !!(역사의 5가지 순서) #1-3 "역사" ,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생산수단의 등장으로 '원시 공산사회'가 끝이 나면서 역사는 '고대 노예제 사회'로 들어선다. 즉, '생산수단'과 거기에서 나온 '생산물'로 인해 지배와 피지배 관계가 만들어진다. 그렇게 지배와 피지배 관계는 체계화되어, 왕, 귀족, 평민, 노예로 구성된다. 이제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생산수단'이 편리한 도구, 비옥한 땅 정도가 아니라 이제 독점적인 것이 될만한 토지, 영토처럼 규모가 커진다는 것이다. 토지에서 나는 모든 곡식, 물건을 사고파는 자릿세처럼 말이다. 그리고 글쓴이는 이제 '생산수단'의 '중요한 점'볼 수 있다고 한다. 보면 '생산수단'은 혼자서 소유할 수 있지만, 혼자서 운영하고 가꿀 수는 없다는 것이다. 즉, 생산수단은 노동을 대신할 사람을 필요로 한다는 특징이다. 결과를 보면 지배층(소유..
2020. 9. 23. 16:55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