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번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I(User Interface)의 개요, 구분, 기본 원칙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번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I(User Interface)의 특징 , 설계 지침 , 설계 도구를 살펴보려 합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소프트웨어 영역 중 변경이 가장 많다.
- 사용자의 편리성과 가독성을 높임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 최소한의 노력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 수행 결과의 오류를 줄인다.
- 사용자의 막연한 작업 기능에 대해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 준다.
- 정보 제공자와 공급자 간의 매개 역할을 수행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다음은 "설계 지침"입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할 때의 고려사항으로
다음과 같은 여러 고려사항들이 있습니다.
- 사용자 중심: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환경을 제공하며, "실사용자"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 일관성: 버튼이나 조작 방법 등을 일관성 있게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기억하고 습득할 수 있어야 한다.
- 단순성: 조작 방법을 단순화시켜 인지적 부담을 감소시켜야 한다.
- 결과 예측 가능: 작동시킬 기능만 보고도 결과를 미리 예측할 수 있게 설계해야 한다.
- 가시성: 메인 화면에 주요 기능을 노출시켜 최대한 조작이 쉽도록 설계해야 한다.
- 표준화: 기능 구조와 디자인을 표준화하여 한 번 학습한 이후에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 접근성: 사용자의 연령, 성별, 인종 등 다양한 계층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 명확성: 사용자가 개념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 오류 발생 해결: 오류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위와 같은 특징들과
설계 지침을 고려하여 UI를 설계할 때,
UI 설계할 때 쓰이는 "UI 설계 도구"에 대한 설명입니다.
와이어프레임 (Wireframe) |
기획 단계의 초기에 제작하는 것으로, 페이지에 대한 개략적인 레이아웃, ui 등 뼈대를 설계하는 단계. 와이어 프레임을 제작할 때는 각 페이지의 영역 구분, 콘텐츠, 텍스트 배치등을 화면 단위로 설계한다. |
목업 (Mockup) |
디자인, 사용 방법 설명, 평가 등을 위해 와이어프레임보다 좀 더 실제 화면과 유사하게 만든 정적모형. 시각적으로만 구성 요소를 배치하는 것으로 실제로 구현되지는 않는다. |
스토리보드 (Stroy Board) |
와이어프레임에 콘텐츠에 대한 설명, 페이지 간 이동 흐름 등을 추가한 문서이다. 스토리보드는 상단이나 우측에는 제목, 작성자를 입력하고, 좌측에는 UI화면, 우측에는 디스크립션을 기입. |
프로토타입 (Prototype) |
와이어프레임이나 스토리보드에 인터랙션을 적용함으로써 실제 구현된 것처럼 테스트가 가능한 동적모형. 프로토타입은 사용성 테스트나 작업자 간 서비스 이해를 위해 작성하는 샘플이다. |
유스케이스 (Use Case) |
사용자 측면에서의 요구사항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위해 수행할 내용을 기술한다.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빠르게 파악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초기에 시스템의 기능적인 요구를 결정및 문서화함. |
반응형
최근댓글